캬뷰레이터 유형별 원리와 구조 분석
캬뷰레이터 유형별 원리와 구조 분석 | ||||||||||
![]() |
![]() |
will&D# | ![]() |
![]() |
![]() |
2007-05-16 | ![]() |
![]() |
![]() |
2438 |
캬뷰레이터 유형별 원리와 구조 분석 참고해서 알아본다. 덧붙여 생활 속에 꼭 필요한 캬뷰레이터점검 사항 3가지도 소개한다. 질량비 약 공기14 : 가솔린1정도(용적비는 1 : 50)로 혼합할 필요가 있는데 공기와 가솔린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캬뷰레이터 방식과 분사방식이 있다.
분사식은 전자제어 시스템을 이용해서 조절하는 것이다.
엔진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실린더에 보낸다. 공기의 속도는 분무관입구 속도보다 빨라진다. 부분에 채운다.
이 플로트 챔버는 플로트 (FLOAT : 뜨개)에 의해 저장된 가솔린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분무기의 경우 손으로 눌러 공기가 내부의 관을 통과하게 하지만 바이크의 경우는 실린더안의 피스톤이 하사점을 향해 내려갈 때 공기가 빨려들어가며 캬뷰레이터의 배럴(Barrel : 흡기통로)압력을 떨어뜨리며 공기가 흐르게 된다.
빨아올리고 제트 니들(Jet Needle)이 열린다. 분사된다.
빠른 곳에 위치해 있다. 고정되어있지 않고 움직이면서 배럴(흡기통로)를 얼마나 좁힐지를 정하는 것을 가변 벤츄리 캬뷰레이터라고 한다. 바이크에 있어서 대부분 가변 벤츄리 형을 채용하고 있다. 아이들링 장치(Idling System)등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용어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캬뷰레이터에는 ,VM형과 CV형이 있다. 따라서 엑셀 와이어에 직접 연결된 피스톤 밸브가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고 스로틀 밸브에 부착돼 있는 니들제트가 가솔린의 양을 컨트롤한다. 공기의 유량을 결정하면 이에 흡기관 안의 압력이 바뀌고 흡기관과 통해있는 다이어프램 안의 압력도 변화하게 된다. 디시 말해 흡기관 안의 변화하는 압력을 이용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에 의해 피스톤 밸브가 상하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가솔린양을 결정하는 구조를 띠고 있다. 참고로 CV형 유로에서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일컬어 베르누이(Bernoulli) 원리라고 한다. 이번에는 캬뷰레이터의 아랫부분 즉 가솔린이 저장되어있는 플로트 챔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주행속도에 따라 캬뷰레이터 내에서 가솔린이 어떻게 제어되는지 세가지로 나누어 알아본다.
두 번째는 저속에서의 분사방식, 그리고 세 번째는 중.고속에서의 분사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정지해있는 실린더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짙은 혼합기를 내뿜어 내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타터 회로로 들어가게 된다. 이 연료는 스타터 제트에 의하여 계량되어지며 플로트 챔버의 공기와 혼합되고 이 진한 혼합기는 스타팅 플런저로 들어가 다이아프램의 뒤쪽으로부터의 공기와 다시 혼합된다. 이렇게 적절히 혼합된 혼합기는 스타터 아웃렛을 통하여 메인보어로 분사된다. 이 연료는 스타트 제트에 의하여 유출되어 블리더 구멍으로 들어온 공기와 혼합하면서 시동에 알맞은 혼합기로 되어 실린더로 들어간다.
CV형으로 벤츄리 옆면에 있는 진공통로로 전달되는 진공도에 의하여 피스톤이 작동한다. 그리고 이 피스톤에 의하여 벤츄리 통로면적을 중가 혹은 감소된다. 진공은 다이어프램(Diaphragm)을 작동시켜 피스톤을 움직이게 한다. 이때 다이어프램에 걸리는 진공도가 스프링의 장력보다 커지면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벤츄리의 통로면적은 넓어져서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벤츄리에서 적절한 혼합비를 유지시킨다. 시트와 니들이 허용한계치를 넘어 마모되었을 경우에도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플로트실에서 플로트를 떼어내어 각 부위를 휘발유로 세척한다. 만약 니들이 왼쪽의 X 표시된 것과 마모된 경우에는 밸브시트와 함께 모두 교환해야 한다. 혼합기실 내의 유로를 청소는 할 때는 압축공기로한다. 플로트암을 자유롭게 한 후 니들밸브와 접촉이 시작될 때의 거리 ⓗ를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해서 측정한다. 필요하면 조절판①을 구부리거나 펴서 플로트 높이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플로트 높이 19.5 ± 1.0㎜) 기화기에 다이어프램 테두리를 정확히 끼워야 한다. 이때는 엔진에 표준 점화플러그를 사용한다. 로드 테스트 후에 스파크 플러그와 피스톤의 상부를 체크한다. 플러그 상부 색깔이 적정이 아니라면 기화기를 통과해서 들어오는 공기의 양이 과다 혹은 부족했을 수가 있다. 이로서 기화기의 이상유무를 가늠해 볼 수 있다. |